경의선 숲길지기
Friends of Gyeongui line forest


대흥동 구간의 옛 모습
photo by 최재한
대상지 개요
자료제공 : 동심원 조경, 서울시 공원조성과
*아래 내용의 상업적 이용을 금지합니다.
경의선 숲길은 총 연장 6.3km, 폭 10~60m의 선형 공간이다.
홍제천부터 용산문화체육센터까지 이어지는 길은 공원구간(4.4km)과, 경의선 및 공항철도 역사(驛舍)구간(1.9km)으로 이루어져 있다.
풍부한 녹음을 제공하는 공원구간 사이로, 시민들의 쉬운 접근과 각종 편익을 위한 지하철역 및 복합시설이 위치하여 풍성한 자연과 활기찬 도시문화를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시민들의 휴식공간이 된다.
•총 연장 : 6.3km (홍제천~용산문화체육센터)
•공원사업부지 면적 : 101,668㎡, 길이 : 4.34km
•정거정(역사)부지 면적 : 93,956㎡, 길이 : 1.96km


특징

경의선 숲길은 경의선 및 공항철도가 지하에 건설되면서, 그 상부에 조성된 공원이다.
지하 약 10~20m 아래에 경의선을 복선으로 건설하고, 그보다 더 아래인 지하 약 30~40m에 공항철도를 건설하여,
공원부지를 마련하였다. 철도부지의 소유권자인 철도시설공단 측과 서울시는 앞으로 무상으로 공원부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그동안 지역적 단절요소로 남아있던 철길이 새로운 소통과 교류의 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다.
추진경과
2000년대 초반 경의선 복선화 및 지하화에 대한 필요성이 구체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면서 철길 지하화 이후의 지상부공간 활용에 대한 가능성이 열리기 시작하였다. 이후 철도부지에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용역 및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공원조성의 타당성이 점차 대두되었으며, 2007년 철도시설공단과 서울시는 ‘공원화사업’을
전제로 하는 지상부공간 무상사용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2011년 경의선공원 조성에 대한 기본 및 실시설계가 완료되었으며 2012년 2월에는 대흥동 구간에 대한 1단계 공사가 완료되어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이후 1단계 구간에 대한 주민의견청취 및 전문가 토론을 거쳐 보다 수정 · 보완된 계획안이 수립되었고,
2013년 10월 2단계구간(새창고개, 연남동, 염리동) 공사가 착공되어 2015년 6월에 개장되었다. 현재 3단계 구간(창전동, 신수동, 원효로)이 2016년 중순경에 개장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중이다.

기본계획
경의선의 역사와 문화, 생태성, 지역공동체를 고려하여 계획방향을 설정하였다.

시민참여를 통한 공원만들기
•설계 -> 시공 -> 운영·관리 단계에 걸쳐 적극적인 시민참여 유도
•완성형이 아닌, 비완결적인 디자인 추구

디자인 모티브
•옛 경의선 철길에 대한 기억과 흔적이 새로운 공원을 만들기 위한 모티브가 되어
•지배적인 디자인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법을 구상

대흥동 구간 소개
대흥동 구간
-위치 : 마포구 염리동, 대흥동 일대
-면적 : 17,500㎡ ( L=760m )
-시설내용 : 산책로, 자전거길, 쉼터, 소규모 광장 등
-공사기간 : 2010.12. ~ 2011.12.






연남동, 새창고개 구간의 소개
-연남동 조감도

-새창고개 조감도

창전동 구간 소개(공사중)
창전동 구간
- 위치 : 마포구 땡땡거리 및 와우교 일대
- 규모 : 면적 8,650㎡ (길이 370m, 폭17~31m)



창전동 구간 조감도



신수동 구간
- 위치 : 마포구 신수동 일대
- 규모 : 면적 8,800㎡, 길이 420m, 폭15~30m
신수동 구간 소개(공사중)

신수동 구간 조감도




공사를 앞둔 신수동 구간의 경의선 폐철길
원효로 구간 소개(공사중)
원효로 구간
- 위치 : 용산구 원효로1가 일대 (용산구문화체육센터 ~ 효창역)
- 규모 : 면적 7,900㎡, 길이 360m, 폭15~44m

원효로 구간 조감도





경의중앙선의 공덕-용산역 간 공사 현장 (효창고개역 부근)